구와나사(구안와사) 종류 및 증상.
예로부터, 찬 바닥에서 자면 입이 돌아간다고 어른들이 말씀하셨습니다.
이는 실제로 안면 신경마비 증세로, 동방의학에서는 구와나사(구안와사)로 불리는 증상입니다.
Contents
구와나사(구안와사) 종류 및 원인
안면 신경마비에는 중추성과 말초성이 있는데, 중추성은 뇌종양, 뇌경색 등의 합병증으로 많이 보이고, 말초성에는 ‘벨마비’와 ‘람세이헌트 증후군’이 있습니다.
그중, 안면 신경마비의 90%를 차지하는 말초성 안면 신경마비의 종류 및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▶ 벨마비
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, 차가운 자극이나 감기에 걸리는 것을 계기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.
단순 헤르페스가 원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.
▶ 람세이헌트 증후군
대상 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.
외이도나 구강 내 또는 귓바퀴에 대상포진이 생기는 것에 의해, 신경에 장애가 생겨 안면 신경마비가 발병합니다.
구와나사(구안와사) 종류별 증상
▶ 벨마비
- 갑자기 한쪽 안면 근육에 마비가 발생
-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는다.
- 얼굴 표정의 좌우가 비대칭
- 눈꺼풀이 닫히지 않는다.
- 항상 안구의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눈이 충혈된다.
- 눈꺼풀을 열심히 닫으려고 하면 안구가 위로 굴러간다. (벨 현상)
- 비순구(코에서 입꼬리 가쪽으로 뻗은 고랑)가 없어진다.
- 한쪽 입꼬리가 내려간다.
- 휘파람을 불 수 없다.
-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서, 음료를 마시면 흘린다.
- 혀 앞 2/3 미각 장애
- 청각장애
- 목마름
- 안구 건조
- 말을 잘 할 수가 없다.
▶ 람세이헌트 증후군
- 귀에 통증을 동반한 포진, 발적
- 신경통
- 청각 장애 (난청, 이명, 현기증)
구와나사(구안와사)의 치료 및 예후
일반적으로, ‘벨마비’는 부신피질스테로이드, ‘람세이헌트 증후군’은 항바이러스 약물에 의한 치료가 실시됩니다. 상황에 따라 입원하여 집중적으로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.
현대의학에서는, ‘벨마비’는 1~3개월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, 후유증을 남기기도 합니다.
‘람세이헌트 증후군’은, ‘벨마비’에 비해 회복이 느리고, 부전 마비를 남기는 경우가 많습니다.